Programming/Share-Utils41 리눅스 rm - 파일 및 디렉토리 삭제 명렁어 rm 은 remove 의 약자이고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사용방법 rm ( 옵션) 파일 또는 디렉토리 경로 rm *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을 삭제합니다. 각 파일에 대해서 삭제할 건지 묻고, 디렉토리가 있다면 삭제할 수 없다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rm -f abc.txt -f 옵션을 붙이면 삭제할 건지 다시 묻지 않고 바로 삭제합니다. rm -f *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을 바로 삭제합니다. 디렉토리는 삭제하지 않습니다. 디렉토리 삭제하기 rm -r dir1 - dir1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 디렉토리를 삭제할 때는 -r 옵션을 붙입니다. rm -rf dir1 f 옵션을 추가하면 삭제할 건지 묻지 않고 바로 삭제합니다. rm -rf * 현재 디렉토리에 속한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를.. 2021. 7. 21. [Util] Mac에서 파일 공유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방법 맥에서도 윈도우와 같이 공유폴더를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다. 맥에서는 시스템환경설정 그리고 계정정보를 확인하여 접속할수 있다. 1. 먼저 시스템 환경설정에 들어간다. 2. 환경설정에 공유를 선택 3. 파일 공유 체크 및 선택 그리고 공유할 폴더경로를 선택한다. 4. 마지막으로 공유폴더에 접속할때의 계정정보 그리고 비밀번호를 확인한다. 계정정보는 macOS에 로그인된 이름 과 비밀번호 이다. 2021. 7. 20. [VSCode] 폴더 Tree 구조 Icons 변경 VS Code를 사용할 경우 간간히 Theme나 아이콘 을 변경해서 기존의 답답하거나 구별이 어려웠던 파일을 쉽게 구분할수 있다. 지금 소개하는 VS Code Icons는 간단한 방법으로 변경할수있다. 먼저 VS Code Extension에 들어가서 vscode-iocons 를 찾아 설치를 한다. 그리고 preference-> File Icon Theme 를 선택하여 설치했던 vscode-icons 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구별이 쉽고 이쁘게 아이콘이 변경된다. 2021. 6. 15. VM Ware 창크기에 해상도가 바뀌도록 설정 VMWare를 사용하다보면 창크기에 따라 해상도 고정되서 보기 불편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매번 창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Full Screen으로 하기에는 불편한점이 있어 아래와 같이 설정하면 간단히 해결될수 있다. 순서는 [ Edit ] - [ Preference ] - [ Display ] - [ Autofit guest ] 2021. 6. 9. [Notion] 노션(Notion)을 활용한 개발자 이력서 관리 Notion " Notion 은 메모, 글스기, 문서 작성부터 시작하여 코드 작성, 프로젝트 관리 까지 하나로 관리하여 해결할수 있는 생산 툴 입니다 " 따라서 요근래, 개발자 또는 여러 분야의 전문 사람들이 Notion을 이용하여 채용공고 와 이력서를 공유하여 사용하고 있다. 필자의 경우 당근마켓 팀의 노션을 자주 찾아보고 있는데 이부분에 대해 당근마켓팀도 노션을 관리하여 홍보하고 내용을 잘 공유하고 있었다. 그래서 본인도 요새 지인 개발자들과 더불어 노션으로 이력서를 업데이트를 공유하고 본인도 이력서를 작성해서 업데이트 해보았다. 내용이 너무많아 앞으로 계속 업데이트 해야겠지만 혹시나 이력서를 보고 연락이 오지 않을까 심히 기대하여본다. www.notion.so/Resume-Ji-Eon-Kim-d5f.. 2021. 2. 7. [Mac] Mac Os에서 VS Code 삭제하기. 가끔 단축키 설정이나 환경설정에 대해 잘 적용되지 않고 내가 어떤키를 눌러서 변경되었는지 파악이 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하였다. 물론.. vs code를 삭제한다고 하더라도 소스코드에는 영향이 없으니 과감하게 삭제하고 다시 선택하는 방향이 나은듯 싶다. MAC에 경우 자체 로컬까지 삭제를 해줘야만 다시 적용이 가능하다. 다음 명령어를 순서대로 입력한다. ( 사전에 vs code 를 종료하고 응용프로그램을 삭제한다.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m -fr ~/Library/Preferences/com.microsoft.VSCode.helper.plist rm -fr ~/Library/Preferences/com.microsoft.VSCode.plist rm -fr ~.. 2021. 1. 19. [Ubuntu] Ubuntu 스티커 메모 사용하기. 우분투 환경에서도 윈도우와 같이 스티커 메모를 사용할수 있다. 다음과 같이 명령어로 설치할 수 있다. 1234567sudo add-apt-repository ppa:umang/indicator-stickynotes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indicator-stickynotes indicator-stickynotesColored by Color Scriptercs 2020. 7. 22. [Mac]Pyenv virtualenv 실행시 오류 1 2 3 Failed to activate virtualenv. Perhaps pyenv-virtualenv has not been loaded into your shell properly. Please restart current shell and try again. cs bash에서 zsh로 갈아타고나서 .zshrc에 init 해주는 문구를 안넣었다. 아래를 터미널에 입력해주면 잘 된다. 12echo 'eval "$(pyenv init -)"' >> ~/.zshrcecho 'eval "$(pyenv virtualenv-init -)"' >> ~/.zshrccs 2020. 6. 24. [Dev & Util] Mac에서 앱을 강제로 종료하는 방법 Mac에서 반응하지 않는 앱을 정상적으로 종료할 수 없는 경우 강제 종료를 사용하여 앱을 닫습니다. Mac에서 앱을 정상적으로 종료하려면(닫으려면) 메뉴 막대의 해당 앱 메뉴에서 '종료'를 선택하거나 command(⌘)-Q 키를 누릅니다. 이렇게 해도 앱이 종료되지 않으면 다음 단계에 따라 앱을 강제로 종료합니다. 앱을 강제로 종료하는 방법 option, command 및 esc 키를 동시에 누릅니다. 이 동작은 PC에서 Ctrl-Alt-Delete 키를 누르는 것과 유사합니다. 또는 화면 왼쪽 상단 모서리의 Apple() 메뉴에서 '강제 종료'를 선택합니다. 강제 종료 윈도우에서 앱을 선택한 다음 '강제 종료'를 클릭합니다. 2020. 4. 29. [Dev&Util]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 삼바(Samba) 연결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의 파일을 윈도우에서 접근하기 쉽게 삼바(Samba)를 설치하고 연결해 봅니다. 그러면 윈도우 탐색기에서 파이의 폴더에 쉽게 접근할 수가 있습니다. 먼저 파이에 SSH 로 로그인 하고서 아래와 같이 삼바(Samba)를 설치합니다. pi@raspberrypi ~ $ sudo apt-get install samba samba-common-bin 삼바가 성공적으로 설치된 후에 아래의 파일의 내용을 일부 편집합니다. pi@raspberrypi ~ $ sudo vi /etc/samba/smb.conf secutiry = user rean only = no ex 모드에서 set nu를 입력하면 라인번호가 표시됩니다. 102 라인에서 secutiry = user 로 수정합니다. .. 2020. 4. 27. [Dev & Util] Input Director 사용법 두개의 컴퓨터에 하나의 키보드 마우스를 공유하여 사용할수 있는 유틸프로그램을 소개한다. 단 두개의 컴퓨터는 같은 네트워크상에 있어야 이 유틸프로그램을 사용할수 있다. 1. 프로그램을 2대 PC에 각각 설치합니다. http://www.inputdirector.com/downloads.html 2. 마스터와 슬레이브 PC를 정합니다. 보통 자주 사용하는 PC를 마스터로, 긴 작업을 돌려놓는다던지 간간히 사용하는 PC를 슬레이브로 설정합니다. 3. 슬레이브 PC 먼저 설정 후 마스터 PC 설정을 합니다. * Slave PC 설정 방법 1. 프로그램 실행 후, Global Preferences 부분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파란색 동그라미 부분은 체크해제 해주세요(잘못 캡쳐했습니다) 2. Slave Conf.. 2020. 4. 27. Debug 와 Relsease 모드의 차이 Release Mode 프로그램을 배포하기 위해 컴파일 하는 모드 -초기화 하지 않는다. -같은 문자열 상수라도 서로다른 공간에 할당한다. -디버깅정보를 삽입하지 않고 코드를 최적화하여 실행 파일 크기를 최대한 줄여준다. -속도나 크기면에서 월등이 유리하다(메모리 점유율로 낮아지고 실행도 빨라짐) -더이상 현재버전에서 내결함성이나 문제점들을 발견할 수 없었을때 빌드하여 주는 모드 Debug Mode -컴파일시 들어가는 디버깅에 필요한 자질구리한 정보를 뺀 알짜 프로그램만 쏙 뽑아냄 -실행파일에 디버깅 정보를 삽입하여 언제든지 디버깅을 할 수 있도록 하며 Debug서브 폴더에 실행파일을 만들어준다. -디버깅정보가 들어가 있기때문에 실행파일 상태를 확인할수 있다. -디버그에 필요한 정보들을 실행시 계속 체크.. 2020. 4. 27.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