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135

[Mac] pyenv virtualenv 실행 시 오류 맥환경에서 python 가상환경을 실행할때 다음과 같은 오류가 종종 발생한다. 1 2 3 Failed to activate virtualenv. Perhaps pyenv-virtualenv has not been loaded into your shell properly. Please restart current shell and try again. cs 그러면 bash 에서 zsh로 갈아탈때 이러한 문제가 종종 발생하는데 다음과 같은 문구를 터미널에 입력해주면 해결할 수 있다. 1 2 echo 'eval "$(pyenv init -)"' >> ~/.zshrc echo 'eval "$(pyenv virtualenv-init -)"' >> ~/.zshrc cs 2020. 7. 22.
[Ubuntu] Ubuntu 스티커 메모 사용하기. 우분투 환경에서도 윈도우와 같이 스티커 메모를 사용할수 있다. 다음과 같이 명령어로 설치할 수 있다. 1234567sudo add-apt-repository ppa:umang/indicator-stickynotes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indicator-stickynotes indicator-stickynotesColored by Color Scriptercs 2020. 7. 22.
[UBUNTU] 화면 잠금, 화면 끄기 해제하기 1. 시스템 설정 -> 밝기와 잠금 으로 들어간다. 2. 아래 이미지와 같은 설정으로 변경한다. 2020. 6. 25.
[Linux] Could not get lock /var/lib/dpkg/lock/frontend/ , Error 이와같은 에러가 날경우 Node.js 설치할때 발생되는 오류가고 하지만 본인의경우는 가상환경이나 다른 pc에도 우분투를 설치할때 이와같은 에러가 항상 빈번하게 발생됬다. 1 2 E: Could not get lock /var/lib/dpkg/lock-frontend - open (11: Resource temporarily unavailable) E: Unable to acquire the dpkg frontend lock (/var/lib/dpkg/lock-frontend), is another process using it? cs 그래서 아래와 같이 몇몇 폴더를 삭제하고 재 업데이트를 해주면 대부분 해결되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sudo killall apt apt.. 2020. 6. 25.
[Mac]Pyenv virtualenv 실행시 오류 1 2 3 Failed to activate virtualenv. Perhaps pyenv-virtualenv has not been loaded into your shell properly. Please restart current shell and try again. cs bash에서 zsh로 갈아타고나서 .zshrc에 init 해주는 문구를 안넣었다. 아래를 터미널에 입력해주면 잘 된다. 12echo 'eval "$(pyenv init -)"' >> ~/.zshrcecho 'eval "$(pyenv virtualenv-init -)"' >> ~/.zshrccs 2020. 6. 24.
Windows 10 아나콘다 설치 아나콘다란? 아나콘다는 기본적으로 파이썬뿐만 아니라 머신러닝을 위한 패키지(수학, 과학 분야의 패키지)인넘파이, 판다스, 맷플롯립, 시본 그리고 주피터 노트북까지 함께 설치가 가능하다. 최근 Tensorflow 또는 데이터분석을 위해 파이썬을 많이 사용하는데베이스로 아나콘다를 설치하고 시작이 이제는 필수가 되었다. 아나콘다 설치 경로 아나콘다 다운로드 경로 : https://www.anaconda.com/distribution/ 윈도우 64bit 버전 installer를 다운로드 해줍니다. 아나콘다 설치 다운이 완료되면, 다운로드 받은 installer를 실행해줍니다. 본인의 경우 SSD가 1TB라서 용량이 넉넉하여 C Drive에 설치했지만 설치경로는 본인의 임의에 따라 설치해도 아무 이상이 없다. 또.. 2020. 6. 22.
[Kaggle] You must resolve errors before creating your dataset Kaggle에서 Dataset을 업로드할때 다음과 같은 에러가 일어난다. 하지만, 이경우 https://www.kaggle.com/product-feedback/84968 You must resolve errors before creating your dataset​ | Data Science and Machine Learning Tell us what you love, hate, and wish for | Product Feedback www.kaggle.com 와 같이 여러 문제점에 대해 논의되고 있으나 명확한 해결법은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해 분석한 결과 한 계정으로 많은 데이터셋을 업로드하려고 하거나 ip 쪽에 문제가 있을경우 계정 자체에 lock이 걸리는것 같다. 그래서 필자의 경.. 2020. 5. 18.
[Database] Mysql Table 생성 MySQL> Show databases; 로 먼저 DB의 생성 및 여부를 확인을한다. USE publication; => 이 문장의 의미는 publication 이라는 DB를 사용하겠다는것을 의미. CREATE TABLE CLASSIC(---------------------------------)=> classic 이라는 Table 을 생성하고 그안에 author ,title,type,year 그리고 필드값에 들에갈 데이터 타입을 지정한다. 2020. 4. 29.
[Dev & Util] Mac에서 앱을 강제로 종료하는 방법 Mac에서 반응하지 않는 앱을 정상적으로 종료할 수 없는 경우 강제 종료를 사용하여 앱을 닫습니다. Mac에서 앱을 정상적으로 종료하려면(닫으려면) 메뉴 막대의 해당 앱 메뉴에서 '종료'를 선택하거나 command(⌘)-Q 키를 누릅니다. 이렇게 해도 앱이 종료되지 않으면 다음 단계에 따라 앱을 강제로 종료합니다. 앱을 강제로 종료하는 방법 option, command 및 esc 키를 동시에 누릅니다. 이 동작은 PC에서 Ctrl-Alt-Delete 키를 누르는 것과 유사합니다. 또는 화면 왼쪽 상단 모서리의 Apple() 메뉴에서 '강제 종료'를 선택합니다. 강제 종료 윈도우에서 앱을 선택한 다음 '강제 종료'를 클릭합니다. 2020. 4. 29.
[Dev&Util]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 삼바(Samba) 연결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의 파일을 윈도우에서 접근하기 쉽게 삼바(Samba)를 설치하고 연결해 봅니다. 그러면 윈도우 탐색기에서 파이의 폴더에 쉽게 접근할 수가 있습니다. 먼저 파이에 SSH 로 로그인 하고서 아래와 같이 삼바(Samba)를 설치합니다. pi@raspberrypi ~ $ sudo apt-get install samba samba-common-bin 삼바가 성공적으로 설치된 후에 아래의 파일의 내용을 일부 편집합니다. pi@raspberrypi ~ $ sudo vi /etc/samba/smb.conf secutiry = user rean only = no ex 모드에서 set nu를 입력하면 라인번호가 표시됩니다. 102 라인에서 secutiry = user 로 수정합니다. .. 2020. 4. 27.
[Dev & Util] Input Director 사용법 두개의 컴퓨터에 하나의 키보드 마우스를 공유하여 사용할수 있는 유틸프로그램을 소개한다. 단 두개의 컴퓨터는 같은 네트워크상에 있어야 이 유틸프로그램을 사용할수 있다. 1. 프로그램을 2대 PC에 각각 설치합니다. http://www.inputdirector.com/downloads.html 2. 마스터와 슬레이브 PC를 정합니다. 보통 자주 사용하는 PC를 마스터로, 긴 작업을 돌려놓는다던지 간간히 사용하는 PC를 슬레이브로 설정합니다. 3. 슬레이브 PC 먼저 설정 후 마스터 PC 설정을 합니다. * Slave PC 설정 방법 1. 프로그램 실행 후, Global Preferences 부분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파란색 동그라미 부분은 체크해제 해주세요(잘못 캡쳐했습니다) 2. Slave Conf.. 2020. 4. 27.
Debug 와 Relsease 모드의 차이 Release Mode 프로그램을 배포하기 위해 컴파일 하는 모드 -초기화 하지 않는다. -같은 문자열 상수라도 서로다른 공간에 할당한다. -디버깅정보를 삽입하지 않고 코드를 최적화하여 실행 파일 크기를 최대한 줄여준다. -속도나 크기면에서 월등이 유리하다(메모리 점유율로 낮아지고 실행도 빨라짐) -더이상 현재버전에서 내결함성이나 문제점들을 발견할 수 없었을때 빌드하여 주는 모드 Debug Mode -컴파일시 들어가는 디버깅에 필요한 자질구리한 정보를 뺀 알짜 프로그램만 쏙 뽑아냄 -실행파일에 디버깅 정보를 삽입하여 언제든지 디버깅을 할 수 있도록 하며 Debug서브 폴더에 실행파일을 만들어준다. -디버깅정보가 들어가 있기때문에 실행파일 상태를 확인할수 있다. -디버그에 필요한 정보들을 실행시 계속 체크.. 2020. 4. 27.